
생리불순은 말 그대로 불규칙한 생리를 뜻합니다. 생리주기가 일정하지 않고 생리혈이 많거나 적거나
종잡을 수 없는 상태를 생리불순이라 하는데 일반적으로 다낭성난소증후군, 스트레스나
섭식 장애로 인한 배란장애,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기능저하증 같은 내분비 질환 등
무배란이나 희소배란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정리됩니다.
생리불순 원인
한의학에서는 월경 날짜가 앞당겨지거나 늦어지는 것 그리고 월경량이 많아지거나 적어지는 것을 ‘월경부조’라 하며, 이 월경부조의 원인은
사춘기 여성의 경우 시상하부-뇌하수체의 미성숙에 의해 발생하기 쉽고 한의학적으로 보았을 때 충임맥의 균형이 좋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평소 월경을 규칙적으로 하던 여성에게 월경부조가 나타나는 경우 기체나 간울, 어혈과 담음, 장부의 허약, 혹은 한열의 편중에 의한
경우로 보고 있습니다.
무월경 원인
무월경은 월경을 할 나이임에도 월경이 오지 않거나 월경이 끊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무월경은 원발성 무월경, 속발성 무월경으로 구분되는데 ‘원발성 무월경’은 2차 성징의 발현이 없으면서 초경이 만 13세까지 없는 경우 또는
정상적 2차 성징이 나타나면서 15세까지 초경이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속발성 무월경’은 월경이 있는 여성이 과거 월경 주기의 3배 이상의
기간 동안 월경이 없거나, 6개월 이상 월경이 없는 경우 해당됩니다.
20~30대 층에서 나타나는 무월경의 주요인으로는 ‘다낭성 난소증후군’, ‘극심한 스트레스’, ‘무리한 체중감량’ 등이 있습니다.
생리불순·무월경 증상
-
01
빠른월경
예정일보다 4~5일 이상 빠르게 시작되면, 생리량이 많거나 적기 쉽고 요통, 대하, 검고 덩어리가 많은 생리,
피곤, 식욕저하, 어지러움, 두근거림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
02
늦은월경
생리의 시작이 지연되는 것으로 배란장애, 자궁내막이상, 내분비장애 등으로 인해 빈혈증상이 오고, 얼굴이
창백하며 월경량이 적고 옅을 수 있으며, 아랫배와 허리에 통증이 있거나 변비와 소화장애, 하얀색 대하,
몸이 살찌고 피곤, 혀에 두꺼운 태가 끼며 소변은 맑고 대변이 풀어져 나오기도 합니다.
-
03
과소월경
월경 지속일수가 2일 이하이며, 월경량이 매우 적습니다.
-
04
과다월경
생리량이 너무 많아 가슴이 몹시 두근거리고, 빈혈과 어지럼증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우먼닥 네트워크의 생리불순·무월경 치료방법
한약처방과 함께 침, 뜸, 온열요법, 저주파치료, 약침요법 등 환자에 맞는 다양한 치료방법을 통해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먼닥 전국가맹점은
‘국민행복카드’ 지정 의료기관입니다.
아이를 가진 여성은 누구나 ‘국민행복카드’로 임신과 출산 의료비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우먼닥 전 가맹지점은 국민행복카드 지정 의료기관으로서 임신, 출산 관련 한방치료 및 처방비용에 대해 국민행복카드를 통하여 지원받으실 수 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 자세히 보기
생리불순·무월경
치료!
우리 집과 가장 가까운 '한의원'은 어디에 있을까?